전체 글(269)
-
한국의 멋-화조문
한국의 멋-화조문 1 37.9x45.5 혼합재료 작품설명; 대를 이은 자손의 번창 과 더불어 자손이 급제와 함께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작품 연꽃 (연화문) 연꽃은 대생명력과 더불어 진흙에서 나오면서 오염되지 않는 연꽃을 정보리심(淨菩리心)으로 간주 하였다.연꽃만이 꽃과 열매가 함께 생겨 난다하여 연생(連生) 연이어 자손을 얻는다 는 의미와 ,연은 거듭됨 을 뜻하며 희득연과(喜得連科) 과거에 급제함을 기원 하는 의미를 지녔다. 모란(모란문) 그화려 함은 꽃 중의 왕으로 부귀라는 의미를 갖는다
2023.07.23 -
백년설/심연옥
백년설/심연옥 옛 가수 사진 자료관 2006-11-04 00:39:38
2023.07.23 -
한국의-멋 -기마인물상
한국의-멋 -기마인물상 먼 길을 오랜 여정과 함께한 장수가 해와같은 님의 정성과 기도 미소 를 생각하는 그림 기마인물상 1) 말탄 사람의 토우는 3각형 관모를 쓰고 정장을 하였으며 마구를 갖추고 착장한 말을 타고 있다. 말 엉덩이 위에는 잔모양의 그릇이 얹혀 있어 속으로 통하였고 앞가슴에는 물 같은 것을 따르는 주구가 길게 뻗어 있다. 말꼬리는 손잡이의 구실을 하도록 의장되어 있는데 이것이 비록 실용성은 없으나 토우 전체가 일종의 그릇 구실을 하도록 구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말의 네 다리는 짧고 말굽의 표현은 서투르지만 말머리와 엉덩이의 표현은 사실적이다. 특히 얼굴과 입, 코의 표현은 말의 특색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2023.07.23 -
한국의 멋-마애불의 미소
한국의 멋-마애불의 미소 서산마애삼존불상 중 가운데 여래입상 백제시대후기에 조각된 마애불상이며 국보 84호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저장되어있다. 이것은 특히 ‘백제의 미소’라고 한다.
2023.07.23 -
한국의멋-탈 (동래야류)
한국의멋-탈 (동래야류) 동래야류는 정월 대보름 저녁에 벌어졌는데, 그 해 농사를 점치거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행해졌다고 한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약 100년전 인근 수영야류를 보고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며, 근래에는 대중오락적인 놀이로 공연되고 있다. 놀이는 문둥이춤·양반과 말뚝이의 재담·영노춤·할미와 영감춤의 4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놀이에 앞서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를 한다. 등장인물로는 원양반·둘째양반·모양반·영감·할미·제대각시·봉사·의원·무당·상도꾼 등이 있다. 줄거리는 양반에 대한 조롱과 모욕이 주를 이룬다. 탈은 대부분 바가지로 만드는데, 양반들 탈의 턱 부분을 움직이게 하여 재담을 할 때 마치 살아있는 사람의 얼굴처럼 턱이 움직이는..
2023.07.23 -
한국의 멋-석류문
한국의 멋-석류문 45.5x37.9 오태환 작 2006 삼다(三多)의 상징 식물 문양 삼다라 하는것은 다남(多男), 다복(多福), 다수(多壽) 를 이르는 것으로 인생의 최대 행복을 상징한다. 삼다의 상징 식물 문양은 복숭아,/ 석류,/ 불수감 이다. 중국 宋 나라때 구양수(歐陽修)의 삼다설에는 서왕모선도(西王母仙桃)가 삼천년 마다 열매를 맺는다 하여 오래사는 것 多壽로 해석되고 , 불수감은 그 모양이 부처의 손과 비슷하다하여 多福으로 해석되며 석류속에는 씨가 많아 多子로 해석 되므로 이러한 설에 연유하여 복숭아,/ 불수감,/ 석류는 [삼다]로 칭하여 최고의 즐거움을 바라는 길리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석류는 중국기록 北史 위수전(魏收傳) 에는 齊나라 안덕왕 연종(延宗)이 이조수(李祖收)의 딸을 왕비로 삼아..
2023.07.23